요즘 이것저것 신경 쓸 게 많다 보니 이번 달 급여일에는 연금계좌로 이체하는 것도 깜박했는데 벌써 7월 말이 다가오고 있다. 6월 말이었던 게 어제 같은데 벌써 7월이라니... 😭 올 해도 반 이상이나 흘러갔는데 부지런히 살고 있지 않은 나를 돌아보게 된다. (갑자기 숙연해 짐)
미래에셋 개인연금 2021년 2분기 수익률 (6.97%)
2분기 수익률을 살펴보려고 오랜만에 미래에셋 앱에 들어갔는데, 상장일에 팔지 못하고 묵혀둔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어느새 235,500원이 돼 있는 것도 눈에 띈다.
이야기가 옆길로 샜는데 SK바이오센서도 아직 갖고 있는데 이런 날이 찾아올 지 모르겠다. 🤔
2021년 2분기 수익률은 6.97%로 지난 1분기의 1.26%에 비해 5.71% 상승했고, 상반기 수익률은 8.72%다.
미래에셋 개인연금 가입자들에 비해서 나의 수익률이 낮다는 걸 알 수 있다.
앱 사용에 익숙하지 않아서 초기에 잘못된 매도나 매수를해서 더 그런 걸까? 수익률 상위 5%는 참 부럽구나...
개인연금 투자 중인 상품
구분 | 투자 상품 | 목표 비중 |
주식 (선진국) | TIGER 미국나스닥 100 | 40% |
KINDEX 미국나스닥 100 | ||
주식 (선진국) | TIGER 유로스탁스배당30 | 10% |
주식 (신흥국) | ARIRANG 신흥국 MSCI(합성 H) | 10% |
주식 (신흥국) | KINDEX 인도네시아 MSCI(합성) | 10% |
주식 (선진국) | TIGER 미국테크 TOP 10 | 15% |
리츠 | TIGER 미국 MSCI리츠(합성 H) | 15% |
TIGER 골드선물(H), TIGER 미국채 10년선물 비중이 각 10%였는데 5월부터는 매수를 하고 있지 않다.
나이가 어리진 않지만 아직은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지난달부터 리츠와 미국 테크 TOP 10에 15%씩 비중 변경해서 매수해 보려고 시도 중이다.
ARIRANG 신흥국 MSCI(-3.99% → 4.70%)와 KINDEX 인도네시아 MSCI(-7.20% → -10.46%)는 지난 분기 포스팅 작성 때보다 수익률이 더 내려갔다.
신흥국은 장기로 보고 들어간거지만 요즘 흐름이 좋지는 않은 것 같다.
델타 변이도 그렇고 회복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 듯하다.
반면 골드(-5.45% → -2.38%)와 미국채 10년 선물(-1.23% → +4.18%)은 지난 1분기에 비해 수익률이 회복됐다.
지난달 새로 편입한 미국 테크 TOP10.
TOP10 기업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컴캐스트, 페이스북, 엔비디아, 페이팔, 테슬라, 구글, 어도비, 아마존이다.
이들 기업에 집중 투자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적합한 ETF일 것 같다.
'부의 확장 >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6개월 차 수익률 현황 (9.4%) (0) | 2021.07.31 |
---|---|
미래에셋 IRP] 2021년 2분기 수익률 (4.56%) (0) | 2021.07.23 |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5개월 차 수익률 현황 (9.11%) (0) | 2021.06.25 |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4개월 차 수익률 현황 (4.64%) (0) | 2021.05.22 |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3개월 차 수익률 현황 (7.93%) (0) | 202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