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미래에셋 앱에 들어갔다가 2분기가 훌쩍 지났기에 IRP 수익률을 정리해본다.
그 새 수익률 확인 페이지의 UI가 좀 바뀐 듯하다.
미래에셋 IRP 2021년 2분기 수익률 (4.56%)
IRP 수익률은 지난 분기 대비 0.92% 상승해서 개인연금에 비하면 상승폭이 저조하다. (1분기 : 3.64% → 2분기 : 4.56%)
그래도 상반기 수익률로 놓고 보면 8.42%로 개인연금 수익률인 8.72%와 큰 차이는 없다.
그래도 미래에셋 IRP 가입자들 평균 대비 내 수익률이 약간은 높다는 것에 위안을...
안전자산 30% 유지해야 되는 것 때문일까? 상위 5% 수익률도 개인연금보다는 낮구나.
퇴직연금은 안전자산 비율이 30%로 정해져 있어서 매수하고 싶은 종목을 매수할 수 없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기도 한다.
계좌별 자산 페이지에 들어가면 위험자산 투자비율은 나오지만, 비중 초과를 하더라도 앱에서 종목별 비중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니 불편하다. (이건 미래에셋만의 문제는 아닐 것 같다)
안전자산 30% 비중을 계속 유지할 거라면 퇴직연금 비중을 관리하기 좀 더 편하게 서비스가 변경됐으면 한다.
IRP 투자 중인 상품
구분 | 투자 상품 | 목표 비중 |
주식 (선진국) | TIGER 미국S&P500 | 50% |
KINDEX 미국S&P500 | ||
주식 (선진국) | KODEX 선진국MSCI World | 10% |
주식 (신흥국) | TIGER 차이나항셍테크 | 10% |
리츠 | 맥쿼리인프라 | 10% |
자산배분 (글로벌 선진국 주식 3 : 국내채권 7) |
KODEX TRF3070 | 10% |
채권 | KODEX 단기채권PLUS | 10% |
IRP는 투자 중인 상품에 변동은 없다.
맥쿼리인프라 유상 증자한다고 문자가 왔는데 바빠서 신경 못 쓰다가 오늘 들어가 보니 '맥쿼리인프라 7R'이라고 돼 있는 걸 봤는데 검색해보니 신주인수권이라고 한다.
신주인수권을 사고 판다는 것도 오늘 처음 알았는데 초과 청약하려고 매매한다고 한다. 난 그냥 가진 걸로 만족하련다.
유상청약은 전화해서 참여해야 되는 것 같은데 청약일 다가오기 전에 고객센터에 문의해봐야겠다.
- 신주인수권 매매 : 2021.07.21 ~ 07.27 (신주인수권 매도 시 유상청약 권리 소멸)
- 유상청약 기간 : 2021.08.04 ~ 08.05 15시 마감
- 문의 : 고객센터 1588-6800
지난 분기와 비교했을 때 수익률 현황은 고만고만한데 KODEX 선진국 MSCI World 가 12.93% → 20.5%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TIGER 미국 S&P500보다 KINDEX 미국 S&P500의 수익률이 거의 2배 가까이 올랐는데, 그 차이는 아마 내가 KINDEX 걸 더 많이 매수해서이지 않을까 싶다. 둘 다 가격이 비슷한데 좀 더 저렴한 걸로 매수했던 것 같다.
차이나항셍테크 수익률은 -3.45% → -10.89%로 더 낮아졌다.
TIGER 차이나항셍테크는 홍콩 시장에 상장한 중국 기술주에 투자하는 ETF로 아래 차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반등의 기미가 안 보인다...
IBK기업은행 퇴직연금도 그렇고 중국 관련된 상품들이 다 수익률이 저조하다.
중국은 진짜 투자하는 게 아닌 걸까? 최근 디디추싱도 중국 정부 말 안 듣고 미국에 상장했다가 잘못하면 상폐될지도 모른다고 그러던데 너무 과도하게 규제를 해서 주가가 반등을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도 언젠간.... 웃는 날이 오겠지?
'부의 확장 >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K 기업은행 DC형 퇴직연금] 펀드 운용 7개월 차 수익률 현황 (10.1%) (0) | 2021.08.29 |
---|---|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6개월 차 수익률 현황 (9.4%) (0) | 2021.07.31 |
미래에셋 개인연금] 2021년 2분기 수익률 (6.97%) (0) | 2021.07.23 |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5개월 차 수익률 현황 (9.11%) (0) | 2021.06.25 |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4개월 차 수익률 현황 (4.64%) (0) | 2021.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