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의 확장/연금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3개월 차 수익률 현황 (7.93%)

728x90

IBK 퇴직연금] 펀드 변경 3개월 차 수익률 현황 (7.93%)

2021년 4월 17일 - IBK 기업은행 퇴직연금 수익률 현황

IBK 기업은행 퇴직연금을 예금에서 펀드로 변경한 지 2개월 하고 보름 정도 지났다.


매달 수익률이 어느 정도인지 정리해서 블로그에 업로드하고 있는데,
차이나 리치 투게더를 제외한 나머지 펀드들은 수익을 내는 중이라 정리하는 재미가 있다😊

아래 표를 보면 포트폴리오 중에 리치투게더 시리즈들이 내 투자 수익률을 갉아먹고 있는 걸 알 수 있다😪

 

상품명 목표비중 투자시작일 매수금액 평가금액 수익률

삼성퇴직연금
코리아대표40증권자1호
(채혼)Ce

20%

21-02-01 ₩1,245,654 ₩1,275,281 2.38%
21-02-18 ₩89,585 ₩90,131 0.61%
21-03-11 ₩59,722 ₩61,495 2.97%
21-04-12 ₩59,722 ₩60,096 0.63%
합계 ₩1,454,683 ₩1,487,003 2.22%

에셋플러스
글로벌리치투게더퇴직연금증권자1호
(주식)Ce

20%

21-02-01 ₩1,245,653 ₩1,318,369 5.84%
21-02-19 ₩44,791 ₩44,245 -1.22%
21-03-12 ₩59,722 ₩61,693 3.30%
21-04-13 ₩59,722 ₩59,586 -0.23%
합계 ₩1,409,888 ₩1,483,893 5.25%

에셋플러스
차이나리치투게더퇴직연금1호
(주식)Ce

10%

21-02-02 ₩622,826 ₩581,484 -6.64%
21-02-19 ₩29,861 ₩24,882 -16.67%
21-03-12 ₩29,861 ₩29,278 -1.95%
21-04-13 ₩29,861 ₩30,042 0.61%
합계 ₩712,409 ₩665,686 -6.56%

KB
유로인덱스40증권자투자신탁
(채권혼합-파생형)C퇴직e

10%

21-02-02 ₩622,827 ₩656,813 5.46%
21-02-19 ₩74,653 ₩76,881 2.98%
21-03-12 ₩29,861 ₩30,368 1.70%
21-04-13 ₩29,861 ₩29,866 0.02%
합계 ₩757,202 ₩793,928 4.85%

삼성
미국코어주식증권자
(주식)Cpe

20%

21-02-02 ₩1,245,654 ₩1,367,583 9.79%
21-02-19 ₩29,861 ₩30,859 3.34%
21-03-12 ₩59,723 ₩62,305 4.32%
21-04-13 ₩59,723 ₩59,733 0.02%
합계 ₩1,394,961 ₩1,520,480 9.00%

피델리티
글로벌테크놀로지증권자투자신탁
(주식-재)CP-e

20%

21-02-02 ₩1,245,654 ₩1,393,776 11.89%
21-02-19 ₩29,861 ₩31,522 5.56%
21-03-12 ₩59,722 ₩63,540 6.39%
21-04-13 ₩59,722 ₩59,844 0.20%
합계 ₩1,394,959 ₩1,548,682 11.02%

 

 

앱으로 확인한 연간 수익률은 지난달에는 6.13% 였는데, 이번달은 7.93%로 1.8% 상승했다.

요즘 증시는 미국이나 한국이나 다 상승세라서 펀드 수익률도 당분간은 좋지 않을까 추측해 본다.

 

IBK 기업은행 퇴직연금 수익률 7.93% (2021년 4월 17일 현재)

 

 

IBK 퇴직연금] 3월 수익률 현황 (3월 21일)

2월 1일에 펀드로 변경한 후 약 한 달 반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 매월 꾸준히 수익률 현황을 기록해 보려고 했는데 시간이 좀 더 걸렸다. 금액을 가릴까하다가 방문자도 없을 것 같아서 일단 매수

wonder-future.tistory.com

 

IBK 퇴직연금] 기업은행 퇴직연금 상품 변경하기

IBK 퇴직연금] 기업은행 퇴직연금 상품 변경하기 DC형 퇴직연금이 농협 정기예금으로 가입돼 있던 것을 올해 2월에 펀드로 상품 변경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증시가 하락했을 때 가입했다면 지

wonder-futur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