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의 확장/국내주식공부

2021-10-1] 염블리 pick 보고서 - 신한금융투자 중국 전력공급난 영향 분석

728x90

신한금융투자 기업분석부 (이진명, 김현욱, 황어현, 박광래) - 중화학산업 중국 전력공급난 영향 분석 [10-01]

■  현재 중국에서 심각한 전력난 지속 이유

  • 중국 부가 2022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대기질 개선을 위해 강도 높은 환경 규제 실시 중국 내 석탄 생산 및 석탄 화력 발전량 감소 + 겨울철 난방 수요 증가   석탄 가격 강세 지속

  • 중국-호주 간 갈등    호주 석탄 수입 금지    석탄 가격 급등   전력 공급난 심화

 

■  신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 중 but 전통 에너지 의존도 높음

2020년 중국 발전량 중 64%는 석탄에 의존

 

2020 중국 에너지원별 발전율 - 자료 : 신한금융투자 보고서



 

중국이 수입하는 전력용 연료탄의 국가별 비중을 보면 인도네시아산이 제일 높고, 작년 11월에는 호주산이 23%를 차지하고 있던 것이 인도네시아/러시아/미국산으로 비중이 분산된 것을 볼 수 있음.

중국이 수입하는 전력용 연료탄의 국가별 비중 변화 - 자료 : 신한금융투자 보고서

 

 

■  중국 전력공급난이 국내 증시에 미칠 긍정적 영향

  • 화학 : 공급 감소로 시황 개선 예상
  • 운송/해운 : 석탄 수입 물동량 증가 전망 - 벌크선 고 운임 지속 가능성 높음(중국 석탄 생산 정상화될 때까지) 
  • 조선 : LNG 가격 상승 발주 증가 기대
  • 전력/기계 : 전력 설비투자 확대 예상

1. 화학 : 에너지 소비 통제로 중국 석유화학 생산량 감소

  • 중국은 글로벌 화학 생산에서 가장 높은 비중 차지 전력 사용 제한 조치로 화학 제품 생산량 감소  국내 화학 업황에 긍정적

  • 중국 내 석탄 가격 강세 지속 전망  석탄 기반 설비 비중 높은 제품 위주의 생산 감소

  • 글로벌 1위 PVC 생산국(42%)이자 가성소다 생산량 44%를 점유한 중국 PVC 설비 중 80%는 석탄 기반 환경 규제로 PVC 가동률 감소(-76%)  PVC 부산물인 가성소다 생산량 감소
    - PVC / 가성소다의 수요는 견조하기 때문에 수급 문제 심화 전망 ▶ 한화 솔루션 수혜 예상

 

한화솔루션 주가 - 2021년 10월 3일

 

PVC
PVC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의 약자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는 플라스틱 또는 비닐의 일종이다.
출처 : 헬스경향(http://www.k-health.com)
가성소다
가성소다는 소금물을 전기 분해해 생산된다.

염기성을 띈 가성소다는 섬유의 염색, 비누 제조, 수처리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건설용 파이프로 주로 사용되는 PVC(폴리염화비닐)의 원료다.
출처 : 머니투데이 2021.07.01 기사 중 - 가성소다 생산 석화업체들 2Q 실적 뜬다... 평균 가격 올해만 70%↑

 

 

2. 운송(해운): 석탄 품귀, 2022년 2월까지 지속될 고 운임(BDI)

통상 벌크선 성수기는 3~4분기, 비수기는 1분기라고 하는데 아래 그래프에서 보듯이 BDI 운임지수는 10월 3일 현재 5,202p로 10년 내(선으로 그어진 부분) 최고치를 기록 중.
4분기에는 3분기 대비 BDI 운임지수가 하락하지만, 올해는 중국 석탄 공급 부족으로 수입 물동량이 증가하여 4분기에도 BDI 운임 상승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현상은 2022년 2월 동계올림픽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음.

BDI 운임지수 추이 - 출처 : tradingview

발틱운임지수 (BDI; Baltic Dry Index)
발틱운임지수란 석탄, 철광석, 시멘트, 곡물 등 원자재를 싣고 26개 주요 해상운송경로를 지나는 선적량 15천 톤 이상 선박의 화물운임과 용선료 등을 종합해 산정하는 지수로, 배들이 원자재를 ‘얼마나 많이’ 싣고, ‘얼마나 자주’ 돌아다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다. ▶ 전 세계 경기 동향, 원재료 수요, 화물량 등을 가늠할 수 있음
출처 : KDI 경제정보센터 click 경제교육
컨테이너선 vs 벌크선
해운사는 크게 컨테이너선사와 벌크선사로 나뉜다.
컨테이너는 대부분 생산이 완료된 완제품을 실어 나르고, 벌크선은 드라이 벌크(Dry Bulk)는 철광석·석탄 같은 광물이나 곡물을 실어 나르고, 웨트 벌크(Wet Bulk) 또는 탱커(Tanker)LNG 등 기름을 실어 나른다.
출처 : 뉴데일리경제 2010.12.10 기사 중 - '웨트벌크'가 대세… 조선 이어 해운사도 LNG선 운송 진력

 

 

아래 이미지는 2020년 10월 ~ 현재까지 BDI 운임지수와 팬오션 주가 그래프를 겹쳐본 것으로 대체로 비슷한 추이를 보였으나 현재 팬오션 주가는 BDI 지수가 상승한 것에 비해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신한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팬오션 주가는 2월 이후 중국 석탄 정상화 과정에서의 수입 물동량 감소 우려(BDI 피크아웃 우려)가 선반영 돼 있다고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2018 호황기 때의 고점 대비 현재 BDI가 197.3%가량 높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현재 PBR 1.1배(직전 호황기 고점 1.4배)는 재평가받아야 한다고 함.

 

BDI 운임지수와 팬오션 주가 비교

 

 

3. 조선: 2022년 2월 이후에도 지속될 LNG 부족, LNG 운반선에 우호적

신규 LNG 운반선 발주는 통상 투자심의 통과 후 3~6개월 내에 하는데, LNG 가격 상승으로 신규 LNG 액화플랜트 투자심의(FID, Final Investment Decision) 환경이 우호적으로 변하고 있음.

LNG 가격 상승 원인은 수요와 공급 모두에 있음.
국제 경기가 살아나면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게 되자 화석연료 중 상대적으로 저탄소인 가스 수요가 상승 중이며, 석탄 부족 사태가 LNG 가격 상승 가속화에 한 몫함.
반면 LNG 액화플랜트 건설에는 3~5년 정도가 소요되기에  2024년까지 서서히 공급 부족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

 

LNG(Liquefied Natural Gas) vs PNG(Pipeline Natural Gas)
가스전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영하 162℃로 냉각시켜 액화 상태로 해상 수송한 후 기화시켜 가스로 공급하는 것으로, 가스를 냉각시켜 액화시키는 것은 부피가 600분의 1로 감소하여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LNG는 해양 수송이 필요한 한국, 일본, 대만에서 활용되고 있다.

PNG는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소비지까지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공급하는 가스로, 육상 수송이 가능한 유럽, 북미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활용되고 있다.
출처 : SK E&S 홈페이지

 

 

 

4. 기계: 원자재 수급 불안정으로 전력기계 확충 필요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원자재 수급 불안정으로 전력이 부족해지는 사태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전력 부족 및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한 전력/기계 투자 확충 전망 ▶ LS Electric 수혜 예상

 

 LS ELECTRIC 주가 - 2021년 10월 3일

 

 

29:33 신한금융투자 보고서 소개

 

중국 전력공급난이 지속되고 있고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대기오염 개선 위한 발전소 가동 중단 및 
석탄을 이용한 공정 생산 감산에 들어감
-> 경기 둔화

신재생 에너지로의 확대가 안되니까 일부에서는 원전을 쓴다는 얘기도 있음.
이 부분에 대한 보고서이고 이런 영향으로
국내 중화학산업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

화학 : 석유화학 감소 PVC/가성소다 - 한화솔루션, 롯데정밀화학
건설 : 큰 영향 없음
운송 : 벌크선은 좋으나 컨테이너선 운임지수는 몇 달만에 처음으로 하락 
-> HMM 주가에는 조금 부정적
조선 :  오늘 주가 안 좋았지만 오히려 호재
기계 : 기계는 아주 좋음.
철강 : 보수적. 철강이 공장에 들어가야 되는데 가동을 중단해 버려서 꼬임.

지금 시장이 모든 게 다 꼬여있음
그래서 답답한 상황이고 중국 정부가 다시 발전소 가동 및
석탄을 이용한 공정 생산 재개하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어려움이 계속 이어질 것.

여기서 주목할 것은
화학 쪽과 기계에서는 LS ELECTRIC - 전력기계 생산   
한화솔루션 PVC - 올해는 실적이 좋지 않은데 내년을 보면 좋음

- 염 이사님 보고서 소개 내용 중 -
반응형